합성 향료의 종류와 특성 향료는 소재와 만드는 방법에 따라 크게 자연에서 유래한 천연 향료와 화학반응을 통해 만들어지는 합성향료로 분류해 볼 수 있습니다. 앞서 배웠던 천연 향료와 같이 동물이나 식물에서 얻어지는 향은 환경이나 기후에 영향을 받아 공급량과 품질이 일정하지 못하고, 대량의 수요만큼 생산량이 따라가지 못하기 때문에 가격이 고가면서도 변동이 심한 편입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천연자원만이 아닌 다른 대체 자원을 이용하거나, 화학적인 합성을 통해서 합성향료가 만들어지게 되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합성 향료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합성향료는 다음과 같이 유리 향료와 순 합성향료로 나눌 수 있습니다. 유리 향료는 천연향료의 추출과 정유 등에 의해서 유리된 향료로, 엄밀하게 보면 천연향료에 준합니다..
식물성 향료 Floral, Spicy, Balsam 향과 동물성 향료 4가지 천연향료에 속하는 식물성 향료 중 Floral, Spicy, Balsam 향에 대해 알아보고, 더불어 동물성 향료에 대해서도 알아보겠습니다. Floral 향으로는 장미(Rose), Jasmin, 수선화(Narcissus), Orris 향이 있습니다. 장미의 종류는 1만종 이상이지만, 향료 추출에 이용되는 품종은 Rosa Centifolia (프랑스 및 모로코)와 Rosa Damascena(불가리아, 터키 및 러시아)의 두 종류뿐입니다. 장미의 정유는 꽃잎을 용제 추출 혹은 수증기 증류에 의해서 얻어지는데, 수율이 약 0.03% 정도로 아주 적다. 정유의 주성분은 PEA(Phenyl ethyl alcohol)이며, 그 외 Citr..
식물성 향료 감귤, 나무, 허브향 알아보기 소재와 만드는 방법에 따라 향료는 크게 자연에서 유래한 천연 향료와 화학반응을 통해 만들어지는 합성향료로 분류해 볼 수 있습니다. 지난 글에서 설명해 드렸던 에센셜 오일은 천연 향료에 속합니다. 오늘은 에센셜 오일보다 좀 더 큰 범위인 천연 향료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천연향료란 천연에 존재하는 유향 성분을 함유한 원료를 추출, 농축, 압착, 증류 등을 통해서 채취한 향 성분입니다. 천연향료는 그 유래에 따라 식물로부터 추출한 식물성 향료와 동물로부터 채취한 동물성 향료로 나눌 수 있어요. 먼저, 식물성 향료 중, 감귤 향, 나무 향, 허브향에 대한 종류와 특성 알아보겠습니다. 식물성 향료는 식물의 꽃, 봉오리, 과실, 씨앗, 가지, 잎, 나무껍질, 뿌리 등에서..
Aroma Therapy와 에센셜 오일, 캐리어 오일 에센셜 오일은 식물의 성분을 고농축한 만큼 그대로 사용 시 독성이 있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희석하여 사용하게 됩니다. 이때, 에센셜 오일을 희석하는 오일을 캐리어 오일 (Carrier Oil)이라고 합니다. 캐리어 오일은 에센셜오일의 유효 성분이 피부에 순하게 잘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데요. 이러한 에센셜 오일과 캐리어 오일을 적절히 블렌딩 하여 사용 함으로써 Aroma Therapy 효과도 기대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Aroma Therapy와 이러한 Aroma Therapy 효과를 누리기 위해, 에센셜 오일은 어떻게 캐리어 오일에 블랜딩해야 하는지를 알아보겠습니다. Aroma Therapy는 고대부터 전해진 향기를 이용한 자연 ..
머리의 피부, 두피를 보호하는 모발의 구조와 성질 모발은 각질층과 유사한 성분인 Keratin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모발 수는 약 7만~14만 개이다. 하나의 모발은 5~6년 정도만 자라고 빠지게 되며, 그 자리에 새로운 모발이 자라나게 됩니다. 하루에 70~120개의 모발이 빠집니다. 모발의 종류에는 직모(Straight Hair), 반곱슬(Wavy Hair), 곱슬머리(Kinky Hair) 있으며, 모발은 인종이나 개인에 따라 다양한 모양으로 나타납니다. 동양인은 약 92~95%가 직모, 5~8%가 반곱슬 모로 알려져 있습니다. 반곱슬 모는 서양인에게 많이 나타납니다. 모발의 단면에는 원형, 타원형, 편평형이 있는데, 직모는 대개 둥근 원형이고, 반곱슬 모와 곱슬머리는 타원형에서 편평형을 하고 있습..
피부의 모공과 피지, 블랙헤드와 화이트헤드 오늘은 피지와 피지선, 모공과 모공에 생기는 블랙헤드, 화이트헤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피지는 피부의 유분량을 결정하는 요인으로, 피부는 유분량과 수분량의 정도에 따라 피부 타입이 분류되기도 하는데요. 더 나아가 대표적으로 많이 분류되는 4가지 피부 타입, 건성, 중성, 지성, 복합성 피부에 대해서도 알아보겠습니다. 피지는 피지선에서 만들어지는 반유동성의 물질로 트라이글리세라이드(triglyceride), 왁스(wax), Squalene 및 소량의 콜레스테롤 (cholesterol)과 Cholesteryl Ester로 구성되어 있으며, 하루에 1~2g 정도가 분비된다. 피지는 세균과 곰팡이를 방어하고, 피부와 모발에 윤기를 부여합니다. 피부 표면에 얇은 막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