액체-고체 분산에서 고려되어야 할 중요한 요인 중 하나는 분산되는 고체와 분산되는 매질의 성질입니다. 안료 미분체 입자의 성질은 각각 특유의 성질을 갖고 있기 때문에 처방 시에는 미리 사용하는 안료의 성질을 충분히 검토하고 파악해둘 필요가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고체 안료의 분류와 성질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화장품에 사용되는 무기안료와 유기안료 화장품용 안료에는 무기계와 유기계가 있으며 각각의 종류 또는 입자의 형상 등에 따라 물에 적시기 쉬운 것과 오일에 적시기 쉬운 것으로 나누어집니다. 일반적으로 무기안료는 물에 적시기 쉬우며 오일에는 적시기 어렵습니다. 이와 반대로 유기안료는 오일에 적시기 쉽고 물에 적시기 어렵습니다. 분산매에 적시기 어려운 분체는 분산매의 표면에 떠버리기 때문에 분산매가 분체..
화장품은 대부분의 제품이 하나의 상에 다른 상이 미세하게 분산된 형태를 띱니다. 로션과 크림 같은 유화 타입 제품은 액체에 다른 액체가 분산된 형태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에 반해, 메이크업을 위해 사용되는 파운데이션, BB크림, 립스틱과 같은 제품은 색채를 위해 고체가 액체에 분산된 형태라고 볼 수 있습니다. 액체에 파우더 형태의 고체를 안정적으로 분산시키기 위해서 여러 가지 방법과 원료 성분이 사용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색조 화장품에 적용되는 고체-액체 분산에 사용되는 원료와 원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색조 화장품의 분산은 고체-액체 분산 분산은 유화 및 가용화와 함께 화장품 연구 또는 제조에서 계면활성제의 여러 작용 중 하나로써 중요한 요인입니다. 일반적으로 분산계라는 것은 기체, 액체, 고체 등..
메이크업 화장품에서 피부색 톤별 적절한 색과 커버력은 어떤 성분들 덕분에 가능한 것일까요? 이번 글에서는 메이크업 화장품의 주된 역할을 구성하는 성분인 안료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색과 커버력을 위해 메이크업 화장품에 쓰이는 안료 메이크업 화장품에서 많이 쓰이는 성분인 안료는 일반적으로 착색안료(coloring pigments), 백색 안료(white pigments), 체질안료(extender pigments), 진주광택 안료 (pearlescent pigments) 등으로 분류됩니다. 착색안료 및 백색 안료는 화장품에 색상을 부여하여 색조를 조정함과 함께 커버력을 조정합니다. 한편 진주광택 안료는 색상에 은은한 진주광택을 부여합니다. 체질안료는 착색안료의 희석제로서 색조를 조정하고 제품의 전연성, 부..
화장품의 클렌징은 거품을 내어 사용하는 계면활성제형과 얼굴에 문질러 노폐물과 메이크업 성분을 녹여낸 뒤 헹구어 내는 용제형 제형으로 나누어 볼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용제형 클렌징 제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용제형 클렌징 제형의 성분 용제형 클렌징 제형에는 처방되는 성분들은 메이크업 화장품을 빠르게 녹여낼 수 있는지, 잘 용해하는지, 저점에서도 메이크업에 대해 상용성이 높은지 등이 고려되어 선택됩니다. 에스터 오일, 실리콘 오일 등 오일감이 적고 산뜻하면서 극성이 있는 오일이나 계면활성제 성분이 주로 첨가됩니다. 계면활성제로서는 일반적으로 비이온 계면활성제가 주로 이용됩니다.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유화제로써 사용되기도 하지만, 용제형 클렌징 제형에서 주된 세정 기제 처방되기도 합니다. 용제형 클렌징..
가벼운 촉촉함으로 피부를 촉촉하게 만들어주는 스킨, 토너에는 어떤 원리가 적용되어 있을까요? 투명하게 보이지만, 그 안에는 향이나 오일 같은 소량의 오일 성분들이 녹아들어 있습니다. 이는 물에 녹지 않는 유성 성분들을 가용화시켜 투명하게 만든 것인데요. 이번 글에서는 스킨, 토너와 같은 워터 타입 화장품에 적용되는 중요한 원리인 가용화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가용화를 통해 만들어지는 스킨, 토너 화장품 가용화(solubilization)는 유화 및 분산과 함께 기초화장품 제형에서 중요한 기술입니다. 가용화 기술은 19세기 중반부터 시작되었지만, solubilization이라는 말이 사용되기 시작한 것은 1936년 J.W. McBain에 의해 정의되었습니다. 일반적으로 넓게 이용된 것은 1950년대 이후부..
클렌징은 피부 표면의 피지, 피지 산화물, 땀, 각질 등의 내인성 오염과 미세 먼지와 메이크업 성분 등의 외인성 오염을 깨끗하게 클렌징 해서 피부를 청결하게 유지하기 위한 것입니다. 크림, 로션과 같은 기초 스킨 케어 못지않게 클렌징 케어도 피부 관리에서 중요한 일상의 생활 습관 중 하나입니다. 페이스 클렌징 제형에는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기준에 따라 다양한 제품으로 분류해볼 수 있습니다. 오늘은 페이스 클렌징 제형의 분류와 그 각각의 특성과 성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세안제와 메이크업 제거제, 거품형과 용제형 클렌징 옛날에는 몸과 얼굴을 따로 구분하지 않고 비누를 사용하여 세수와 샤워를 했지만, 클렌징 제형이 점점 발달하면서 페이스 클렌징 제형과 바디 워시로 나누어지고, 페이스 클렌징 제형 안에서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