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장품의 클렌징은 거품을 내어 사용하는 계면활성제형과 얼굴에 문질러 노폐물과 메이크업 성분을 녹여낸 뒤 헹구어 내는 용제형 제형으로 나누어 볼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용제형 클렌징 제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용제형 클렌징 제형의 성분
용제형 클렌징 제형에는 처방되는 성분들은 메이크업 화장품을 빠르게 녹여낼 수 있는지, 잘 용해하는지, 저점에서도 메이크업에 대해 상용성이 높은지 등이 고려되어 선택됩니다. 에스터 오일, 실리콘 오일 등 오일감이 적고 산뜻하면서 극성이 있는 오일이나 계면활성제 성분이 주로 첨가됩니다.
계면활성제로서는 일반적으로 비이온 계면활성제가 주로 이용됩니다.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유화제로써 사용되기도 하지만, 용제형 클렌징 제형에서 주된 세정 기제 처방되기도 합니다. 용제형 클렌징 제형에 처방되는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세정력이 우수하며 잘 헹구어지고, 피부에의 마일드한 HLB 10~15 정도의 계면활성제가 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피부에 마일드한 장점이 있는 Ethylene Oxide가 부가된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온도에 따라 친수성과 친유성 밸런스가 변화하므로 처방 시에 유의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이 현상은 온도 상승에 의해 Ethylene Oxide가 물에 대한 수화가 감소하여 소수성이 되는 것입니다.
클렌징 제형의 성분 중, 고급 지방산은 천연의 왁스 에스터의 형태로 존재하는 것에서 얻습니다. 동물의 지방이나 식물의 오일에 함유된 지방산은 대부분 탄소 수가 짝수입니다. 화장품에 사용되는 지방산은 KOH 등의 알칼리 성분으로 중화하여 유화제 또는 보조 유화제로 사용되며 지방산 결정은 펄 효과를 내기도 합니다. 지방산 원료 중, 라우르산은 야자유나 팜유를 비누화 분해하여 얻은 혼합 지방산을 분리하여 얻습니다. 라우르산을 비누화하면, 수용성 성질이 크고 기포 생성 능력이 양호해 화장비누 또는 클렌징폼에 사용됩니다. Myristic acid는 팜유를 분해하여 얻은 혼합지방산을 분리하여 얻습니다. 라우르산 비누에 비해 기포 생성량은 적으나 거품이 조밀합니다. 라우르산 비누와 적절히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Palmitic acid는 팜유나 우지 등을 비누화하거나 고압에서 가수분해하여 제조합니다.
Stearic acid는 우지나 팜유를 가수분해하여 제조합니다. 냉각과정에서 올레산을 분리하고, 나머지 분리되지 않은 불포화지방산은 수소 첨가하여 포화지방산으로 만들어 스테아르산으로 이용합니다. Stearic Acid는 고급지방산 중 화장품에 가장 널리 사용하고 있는 지방산입니다. 알칼리로 중화하여 보조 유화제 및 분산제로도 활용됩니다. 지방산 중, 아이소 스테아르산은 액체입니다. 따라서 아이소 스테아르산으로 만들어진 비누는 액체이며 또 투명감도 좋고 다른 오일과 상용성이 좋아 냄새나 산패 우려가 있는 올레산의 대용으로 활용됩니다. Oleic acid는 이중 결합을 갖는 지방산으로 액상입니다. 액체비누의 제조나 보조 유화제로 사용됩니다. 다른 유성 성분과 상용성이 좋습니다. 특이 취가 있고 산패의 우려가 있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고급 알코올(Fatty alcohol)에는 탄소 수 6 이상의 1가인 알코올이 해당합니다. 천연으로부터 얻은 유지를 원료로 하는 것과 석유 화학 원료에서 합성한 것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화장품에서 고급 알코올은 크림 및 로션류의 경도나 점도를 조절하고 유화를 안정화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고급 알코올은 오일 입자 주변에 액정을 형성하여, 화장품의 안정성 및 사용감 등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고급 알코올에 속하는 Isostearyl alcohol은 측쇄 구조를 가진 액상입니다. 열 안정성과 산화안정성이 우수하여 유성 원료로 사용되며 에틸알코올에 용해성이 있어 다양한 화장품의 제형에 응용될 수 있습니다. linear 한 알코올이기 때문에 안정화된 유화 시스템을 파괴하는 작용도 있어 화장품 제형의 안정도 측면에서 주의해야 하는 성분입니다. Ceto stearyl alcohol은 화장품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고급 알코올입니다. 또한, 세틸알코올과 스테아릴알코올이 약 1:1의 비율로 혼합된 성분이며, 유화 제형에서 일정 비율로 액정을 형성시키기도 합니다. Stearyl alcohol은 Cetyl alcohol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며 유화 제품에 Cetyl alcohol과 혼합하여 사용됩니다. 크림과 립스틱 등의 일부 스틱 제품에도 사용됩니다.
Cetyl alcohol은 16개의 탄소 수를 가집니다. Cetyl alcohol은 천연에서는 고래의 지질을 비누화하여 얻은 알코올에서 분류하거나, 야자유 또는 우지를 환원하여 분류하는 방법 등으로 제조됩니다. 백색을 띠며 유화 제품의 경도 및 안정성 향상에 도움을 줍니다. 자체 유화력은 없지만, 보조 유화제로써 자주 사용됩니다. Behenyl alcohol은 Rape seed oil을 고압 수소 환원 또는 금속 나트륨으로 환원시킨 후 증류 정제해서 얻습니다. Cetyl alcohol, Stearyl alcohol과 같이 유화 안정 보조제로 사용됩니다. 융점이 63~73℃로 Cetyl alcohol보다 융점이 높고 친유성이 강하며 우수한 thixotropy 성질을 갖고 있습니다. O/W 또는 W/O에도 모두 사용하며 크림, 로션, 립스틱 등에 이용되는 성분입니다.
'O List > Cosmetic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색조 화장품에서 중요한 분산, 그 원리와 사용되는 안료 (0) | 2022.12.25 |
---|---|
메이크업 화장품의 색과 커버력 (0) | 2022.12.24 |
스킨, 토너 워터 타입 화장품의 원리 (0) | 2022.12.22 |
페이스 클렌징 제형의 종류와 특성 (0) | 2022.12.21 |
파마와 매직에 쓰이는 화장품 (0) | 2022.12.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