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이크업 화장품에서 피부색 톤별 적절한 색과 커버력은 어떤 성분들 덕분에 가능한 것일까요? 이번 글에서는 메이크업 화장품의 주된 역할을 구성하는 성분인 안료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색과 커버력을 위해 메이크업 화장품에 쓰이는 안료
메이크업 화장품에서 많이 쓰이는 성분인 안료는 일반적으로 착색안료(coloring pigments), 백색 안료(white pigments), 체질안료(extender pigments), 진주광택 안료 (pearlescent pigments) 등으로 분류됩니다. 착색안료 및 백색 안료는 화장품에 색상을 부여하여 색조를 조정함과 함께 커버력을 조정합니다. 한편 진주광택 안료는 색상에 은은한 진주광택을 부여합니다. 체질안료는 착색안료의 희석제로서 색조를 조정하고 제품의 전연성, 부착성 등 사용 감촉과 제품의 제형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안료 외에도 메이크업 화장품에는 결합제, 자외선 차단제, 방부제 등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결합제는 대개 오일과 금속염 등이 사용되는데 안료들을 상호 결합해 제품의 제형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기능을 합니다. 자외선 차단제는 자외선으로 인한 피부의 홍반, 노화, 흑화 등을 방어할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방부제는 외부로부터 오염되는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하여 시간의 경과에 따라 사멸시킴으로써 제품의 변질을 방지하는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최근에는 체질안료로서 천연 고분자 또는 합성 고분자 등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들은 주로 발림성 및 부착성을 좋게 하기 위해 사용되는 성분입니다. 또한, 각 안료의 기능을 보다 향상하기 위하여 안료 표면의 수산기 등의 관능 기를 이용한 에테르화 반응을 통해 안료에 표면처리를 하기도 합니다. 즉 금속비누 등을 안료에 부착시키고 가열 소성 처리하여 발수성이 극히 우수한 안료를 만드는 등 분체의 표면 개선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메이크업 화장품에 전연성, 피복성, 부착성, 흡수성 및 자외선 차단성 등의 여러 가지 기능을 부여하기 위해서는 그 기능을 만족시키기 위한 적절한 안료가 배합되어야 합니다. 안료는 크게 무기안료와 유기안료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무기안료는 광물성 안료라 불리며, 천연에서 생산되는 광물을 분쇄하여 안료로써 사용하는 것입니다. 그러나 천연 무기물은 불순물을 함유할 경우 품질과 안정성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현재에는 고순도의 합성과정을 통해 만들어진 합성 무기 화합물이 이용되고 있습니다. 무기안료를 화장품에 이용하는 경우에는 이 안료들을 조합하고 이에 화장품용 유성 원료, 수용성 원료, 계면활성제, 향료, 약제 등을 첨가하여 분산시킵니다. 화장품에 있어 무기안료의 역할은 대단히 중요합니다.
체질안료는 희석제로서 색조를 조정함과 함께 제품의 사용성이나 광택 등을 조정하며, 또한 제품의 제형을 유지하기 위해서도 이용됩니다. 이러한 체질안료로는 운모, 탤크, 카올린 등의 무기안료들이 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운모, 탤크, 카올린은 점토 광물을 분쇄하여 얻은 것으로 입자의 크기나 형태, 두께 등을 고려하여 사용됩니다. 점토광물은 층상구조를 갖고 대부분이 규소(Si), 알루미늄(AI)을 주체로서 마그네슘(Mg), 철(Fe) 및 리튬(Li), 나트륨(Na), 칼륨(K) 등의 알칼리 금속을 함유하는 함수규산염 광물입니다. 그러나 점토광물은 광산의 위치에 따라 그 조성물이 다르기 때문에 같은 탤크라 하더라도 채취하는 장소 및 입자의 크기에 따라 나타나는 물성에 차이가 있습니다.
운모(Mica)는 운모로 불립니다. 운모는 박편 상 입자이며 탄성이 풍부하기 때문에 사용감이 좋고 피부에의 부착성도 좋습니다. 또한 caking을 방지하는 효과가 우수하여 널리 사용되는 체질안료입니다. 견운모(세리 사이트)는 원래 백운모와 동일한 것인데, 미세한 결정 편의 집합체로 건조물의 표면이 비단 광택을 나타내기 때문에 견운모라 불리게 되었습니다. 탤크(Talc)는 함수 규산마그네슘으로 표시되며 매끄러운 감촉이 풍부하기 때문에 활석이라고도 합니다. 탤크는 화학적으로 매우 안정된 물질이며 친유성의 성질을 갖고 있으며, 화장품을 포함한 여러 산업 분야에 널리 이용되고 있습니다. 순수한 탤크의 구조는 두 개의 실리카 층(silica sheet) 사이에 하나의 brucite층이 샌드위치 형태로 끼워져 있습니다. 탤크는 전기적으로 중성이고 입자 형상은 일반적으로 박편 상이며 퍼짐 성 및 윤활성이 좋아 화장품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카올린(Kaolin)의 조성은 함수 규산알루미늄이고, 판상 입자의 두께가 얇기 때문에 피부 내의 부착성이 좋고 기름이나 수분을 흡수하는 성질이 있어 화장품에 사용됩니다.
일반적으로 화장품에 사용하는 백색 안료에는 이산화티탄과 산화아연 등 두 종류가 있습니다. 이산화티탄(titanium dioxide)은 굴절률이 높고 입자 크기가 작아 백색도, 은폐력 및 착색력 등의 광학적 성질이 우수합니다. 또한 광, 열 및 내약품성도 우수하여 백색 안료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산화티탄은 루타일(Rutile), Anatase 및 초미립자 등 3종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초미립자상 산화타이타늄은 평균입경이 0.01~0.05㎛로 일반적인 산화타이타늄 입경 0.2~ 0.3 ㎛보다 훨씬 작습니다. 따라서 산화타이타늄에 비해 착색력과 은폐력은 작지만, 자외선 차단 효과가 뛰어나 자외선 차단용 화장품에 널리 사용됩니다. 산화아연(Zinc Oxide)도 백색 안료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산화아연의 결정은 육방정계에 속하고 입자 형태는 침상이 많습니다. 또한 자외선 차단 효과도 있고 입자 경은 0.4m 전후이고 비중은 5.4~5.6으로 크며, 굴절률은 1.9~2.0 정도로 은폐력은 약합니다. 또한, 내광성, 내후성 및 내열성도 우수합니다.
'O List > Cosmetics'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화장품에 사용되는 고체 안료의 분류와 성질 (0) | 2022.12.26 |
---|---|
색조 화장품에서 중요한 분산, 그 원리와 사용되는 안료 (0) | 2022.12.25 |
용제형 클렌징 제형의 성분 (0) | 2022.12.23 |
스킨, 토너 워터 타입 화장품의 원리 (0) | 2022.12.22 |
페이스 클렌징 제형의 종류와 특성 (0) | 2022.12.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