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능성 화장품에 쓰이는 주름 미백 성분은 어떤 것이 있을까

기능성 화장품에 쓰이는 주름 미백 성분은 어떤 것이 있을까

식약처에서는 기능성 화장품에 대해 각각 효능이 입증된 성분에 대해 고시하고, 고시 함량도 지정해놓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미백, 주름 성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주름 성분부터 살펴보겠습니다. Retinol은 고시 함량은 2,500IU/g이며. Collagen 단백질 감소를 막고, 합성을 촉진한다. Collagenase의 활성을 저해합니다. Vitamin A1의 화학명으로 순수 비타민A로 불리기도 합니다. 주로 녹황색 식물에 많이 함유되어 있습니다. 활성 형태인 retinoic acid로 변환되기도 하며, 표피세포가 기능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Collagen과 탄성섬유로 구성된 엘라스틴 등의 생합성을 촉진합니다. Collagen 분해 효소 (MMP-1)의 활성을 억제하여 주름을 감소시키고 피부 탄력을 증대시키는 효능이 있습니다. FDA에서 주름 개선으로 인정한 원료는 Retinol이 아니라 Retinoic Acid입니다. Retinol은 피부에 흡수될 때 Retinoic Acid로 변화하지만, 주름 개선에 미치는 효과는 매우 적습니다. 피부과에서 주름 개선에 처방되는 Retinoic Acid는 탈모와 홍반을 유발하는 등 피부에 큰 부담을 줄 수 있어서 의사의 처방이 있어야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Retinol의 IU는 생물학적인 방법에 의해 결정되는 역가의 단위로써 1IU의 Retinol은 0.3ug에 해당하는 양이며, 2,500IU/g은 제품 1g 안에 Retinol 750ug이 들어있다는 의미입니다. 

 

레티닐팔미테이트 (Retinyl Palmitate)는 고시 함량은 10,000IU/g이며, Collagen 단백질 감소를 막고, 합성을 촉진합니다. Collagenase의 활성을 저해합니다. 비타민 A의 유도체로 산소에 산패되기 쉬운 유효성분을 안정화한 물질입니다. Retinol과 팔미트산 (Palmitic Acid)의 에스터 조합으로, 레티닐 팔미테이트는 피부에 흡수된 후 Esterase에 의하여 분해가 이루어지며 Retinol을 거쳐 Retinoic Acid로 대사되어 효과를 발휘합니다.

 

아데노신 (Adenosine)은 고시 함량은 0.04%로 핵산의 전구체입니다. 섬유아세포에 작용하여 DNA 합성과 단백질 합성의 증가를 불러일으키고, 세포 크기도 증가시킵니다. 아데노신이란 세포 외부의 신호 전달에 관여하는 뉴클레오사이드로 세포의 성장이나 분화 및 항상성에 직접적으로 관여하는 성분입니다. 각종 대사를 조절하는 중요한 물질이며, 모든 생물체에 소량으로 존재합니다. 아데노신은 세포 분화, 항염증, 상처치유 등의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진피층 내의 Collagen 합성을 촉진해 주름을 완화하고 탄력을 복원합니다. 고시 함량은 0.04%로, 이 외 함량으로 사용 시 추가로 기능성 화장품 심사를 받아야 합니다.  

 

폴리에톡실레이티드레틴아마이드(Polythoxylated retinamide)는 고시 함량은 0.05~ 0.2%로 Medimin A 레티노이드의 일종으로 Retinoic Acid에 Polyoxylethyl Amine을 아마이드 결합으로 합성해 얻어진 물질입니다. Collagenase를 저해하고, Collagen 합성에 관여합니다. 비타민 A라고 알려진 Retinoic Acid의 유도체 중 하나로 빛, 열, 산 등에 산패되기 쉬운 비타민 A에 비해 안정성 및 경피 흡수성이 우수합니다.

 

다음으로 미백 고시 성분을 알아보겠습니다. 닥나무 추출물 Broussonetia Extract의 고시 함량은 2%로 닥나무 속의 다년생초목 뿌리 및 줄기로부터 추출된 원료입니다. 유효성분인 카지놀 (Kazinol)-F가 함유된 추출물로 티로시나아제 저해 효과가 있어 멜라닌 생성을 억제합니다.

 

알부틴(Arbutin)은 고시 함량은 2~5%이며, 자연에서 얻을 수 있는 hydroquinone으로 피부의 색소 침착 과잉을 치료하는 데 사용되는 성분입니다. 배나무나 특정 허브의 잎에 존재하며 미백 효과는 melansomal tyrosinase의 활성을 억제하는 것에 의해 나타나며 hydroquinone보다 독성이 덜한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Ascorbyl Glucoside는 고시 함량은 1~2%이며, 산화가 빠른 비타민 C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하여 만든 비타민 C 유도체입니다. Tyrosinase 저해 효과가 있어 멜라닌의 생성을 억제합니다. 

 

Magnesium Ascorbyl Phosphate는 고시 함량은 3%로 비타민 C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하여 만든 비타민 C 유도체입니다. Tyrosinase 저해 효과가 있어 멜라닌의 생성을 억제합니다.

 

NIACINAMIDE는 고시 함량은 2~5%이며, 수용성 비타민 B3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하여 만든 비타민 유도체입니다. Niacin amide는 이 멜라노사이트에서 keratinocyte로의 멜라닌의 이동을 68%까지 감소시켜 깨끗한 피부 유지에 도움을 줍니다. a-Bisabolol은 고시 함량은 0.5%로 세포 내 멜라닌의 합성을 억제합니다.

 

Hydroquinone은 1930년대 고무 제조 공장에서 사용되다가 몇몇 노동자의 피부에 탈색반응을 일으키는 것이 발견되어 미백제로 사용되어 왔습니다. 흑피증, 주근깨, 노인성 흑점의 치료에 사용되고 있습니다. tyrosinase에 의한 tyrosine의 산화로 인하여 생성되는 아미노산인 Dopa가 멜라닌으로 전환되는 것을 저해하는 역할을 하거나 melanosome을 분해하여 멜라닌 생성 세포를 파괴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Hydroquinone의 미백 효과는 tretinoin, salicylic acid, corticosteroids와 같은 다른 화합물과 혼합하여 사용 시 그 효능이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독성이 매우 심하여 제한적으로 사용되며, 2006년 이후 동물시험으로 발암성이 일정부분 의심된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FDA는 이 성분을 함유한 화장품의 판매 중단을 권고하였으며, 현재는 의사의 처방에 의해서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Kojic Acid는 누룩곰팡이의 대사 물질로 미백 효과가 뛰어나 1988년 이후부터 일본에서 사용되었습니다. Tyrosinase의 구리를 킬레이트 시켜 Tyrosinase를 저해한다. 최고 농도 1%까지 미생물에서는 약한 돌연변이 유발 물질이며 진핵 세포에서는 전혀 돌연변이를 유발하지 않습니다. 사용 시, 독성을 유발해 민감 피부에서는 알레르기가 나타날 가능성을 배제할 순 없는 성분으로, 안전성 우려로 현재 사용을 금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