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 코메도제닉 화장품을 사용한다면 여드름 치료에 도움이 될까요?
다들 논 코메도제닉(Non-Comedogenic), 안티 코메도(Anti-Comedo)라는 단어는 화장품에서 여드름, 블랙헤드, 화이트헤드, 좁쌀 여드름과 함께 지속해서 관심도가 높은 단어인데요.
여드름의 종류와 함께 논 코메도제닉(Non-Comedogenic), 안티 코메도(Anti-Comedo)의 의미를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여드름의 종류와 원인 - 비염증성 여드름과 염증성 여드름
여드름은 크게 비염증성 여드름과 염증성 여드름으로 나누어 볼 수 있습니다.
염증의 전조 증상! 비염증성 여드름 (Comedo)
비염증성 여드름은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블랙헤드, 화이트헤드로 염증성 여드름의 전 단계로 볼 수 있습니다.
이 둘은 피지와 각질이 모공 안쪽에 쌓이면서 고인 상태로 면포(Comodo)라고도 부릅니다.
※ 참고 : Comedo는 다른 의미로 블랙헤드를 제거하는 도구를 의미하기도 해요. Comedo의 모양은 국자 모양, 고리 모양, 핀셋 모양 등 압출에 적합하도록 다양한 모양이 있습니다.
피부에 송송 수많은 작은 까만 점, 블랙헤드 (개방 면포)
하나의 피지선에서 나온 피지와 각질 세포가 축적되어 모공 입구를 막고 있는 형태로 입구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표면이 산화되어 검게 변하게 됩니다. 검게 변하는 이유는 먼지나 노폐물 탓도 있겠지만, 피지에 함유된 멜라닌이라는 색소가 산화되며 검게 보이는 영향이 더 큽니다. 블랙헤드는 모공 입구가 열려있기 때문에 개방 면포라고 말하기도 해요.
하얀 피지 덩어리 화이트헤드 (폐쇄 면포) , 좁쌀 여드름
블랙헤드와는 달리 피지선의 이상으로 피부밑에 피지가 축적된 형태로 피지가 산화되지 않아 살색 또는 흰색으로 보여요.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피부 아래에 존재하기 때문에 폐쇄 면포라고도 불립니다. 피부 아래 생겨 종종 오톨도톨 만져지기도 하는데 이를 압출하면 좁쌀 같은 하얗거나 노랗게 굳은 피지 덩어리가 압출되어 좁쌀 여드름이라고도 합니다.
염증성 여드름, 피부를 위해서 병원에 가야 할 때!
염증성 여드름의 경우 모공 내 과다 축적된 피지와 노폐물을 먹이로 여드름균이 과다 증식하며 백혈구가 모여 면역반응이 일어난 상태로 모공 주변부가 붉게 부어오르고 하얀 고름을 형성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블랙헤드나 화이트헤드와 같은 비염증성 여드름이 방치되어 피지가 지속해서 방출되지 못할 때, 결국 모공이 피지의 압력에 의해 터지는 경우가 발생합니다.
터진 틈으로 Acne 균과 피지가 피부 속으로 퍼지면 백혈구가 모여들어 염증반응이 일어나게 됩니다. 이에 따라 모공 주위의 피부가 붉게 부어오르기 시작하게 되는데 이를 염증성 여드름이라고 합니다. 이 상태까지 가면 흉터가 남기 쉽고, 피부가 박테리아의 침투에 더욱 취약해지기 때문에 병원의 도움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논 코메도제닉(Non-Comedogenic), 안티 코메도(Anti-Comedo)
대부분의 여드름은 설명해 드린 것처럼, 피지가 밖으로 원활히 배출되지 못해 발생합니다.
즉, 여드름 관리에 있어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모공이 막히지 않도록 잘 관리하는 것입니다.
모공을 막는 요인은 내부적인 요인인 피부 고유의 피지 분비량 외에도 외부적 요인으로 크림, 로션과 같은 스킨케어나 메이크업 등 우리가 일상에서 사용하는 화장품으로 인해서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특히, 유분이 많거나 왁스가 많이 함유된 화장품일수록 모공을 막을 확률이 높아요.
Non-Comedogenic = 여드름을 치료해 준다?
Non-Comedogenic이라는 의미는 모공을 막을 가능성이 낮은 제품이라는 의미로, 여드름에 대한 완화 기능성까지 보여주는 제품은 아닙니다. 이에 반해, 여드름 완화 기능성 화장품은 모낭 속 피지 및 노폐물 제거, 여드름균에 대한 항균 등의 기능을 주기능으로 합니다.
또한, Non-Comedogenic 테스트는 그 방법이 표준화되어 있지 않으며, 테스트가 인체에 적용되어 진행되진 않기 때문에 신빙성이 그다지 높은 인증은 아닙니다.
보통 화장품에서 말하는 Non-Comedogenic은 모공이 막힐 가능성을 기준으로 활용하며, 이 기준은 1979년 미국의 피부과 의사 'KLIGMAN'의 '토끼 귀를 모델로 한 모공을 막는 성분평가 보고서'에서 유래된 것입니다. 토끼의 귀는 인간 피부와 유사하고, Comedo가 쉽게 발달하기 때문에 토끼를 이용하여 주로 테스트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인체에 적용해보는 방법도 있지만, 긴 시간과 고비용이 소요된다고 합니다. 보다 신뢰성 있는 Non-Comedogenic 제품을 위해서는 관련 시험 방법에 대한 표준화와 연구가 추가로 진행될 필요가 있어 보입니다.
따라서 Non-Comedogenic 제품은 여드름의 원인인 Comedo를 일으킬 가능성이 비교적 낮다는 참고의 의미로만 보시는 것을 권장해 드립니다.
건강한 모공을 위해 피해야 할 Comedogenic 성분 (참고사이트 : Acne.org)
1996년 이래 여드름에 대한 연구와 제품 개발을 지속해온 해외 화장품 회사인 acne.org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따르면, 토끼 시험과 인체 시험을 통해서 알아낸 45가지의 Comedogenic 성분, 즉 모공을 막는 성분들이 있다고 합니다.
붉은색의 Avoid는 피해야 하는 성분으로 인간과 토끼 시험 두 시험 모두 모공을 막는 것으로 나타난 성분들이라고 합니다. 반면, 황색의 성분들은 토끼 귀에서만 모공을 막는 것으로 나타난 성분으로 가능한 피할 것을 권장하는 성분이라고 합니다.
화장품의 성분 표기는 함량이 높은 순으로 나열되어 있는데, 아래의 성분 중, 10번째 내로 함유된 것이 있다면 꽤 고함량으로 함유된 것이니, 여드름으로 인해 고생 중이시라면 구매를 재고해보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명시된 성분들 중, 국내 화장품에 자주 처방되는 성분도 함께 정리해 보았습니다.
모쪼록 참고가 되시길 바랍니다 :)
< 국내 화장품에서 자주 찾아볼 수 있는 성분 >
Avoid : Cocoa Butter, Oleic Acid, Coconut Oil, Isopropyl Myristate, Isopropyl Isostearate, Isopropyl Palmitate
Consider Avoid : Olive Oil, Squalene, Sodium Lauryl Sulfate, Sweet Almond Oil, Lauric Acid, Ethylhexyl Palmitate
'O List > Cosmetics'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화장품에서 알레르기 성분(Allergen)은 어떻게 표시될까? (0) | 2022.12.28 |
---|---|
니치 향수의 의미와 Best 4 브랜드별 니치 향수 추천 (0) | 2022.12.27 |
화장품에 사용되는 고체 안료의 분류와 성질 (0) | 2022.12.26 |
색조 화장품에서 중요한 분산, 그 원리와 사용되는 안료 (0) | 2022.12.25 |
메이크업 화장품의 색과 커버력 (0) | 2022.12.24 |